
교육
예술·체육
-
강경미내다리
충청남도 논산시 채운면에 있는 조선후기 강경의 송만운과 황산의 유승업 등이 축조한 다리. 석교. 시도유형문화재.
건축유적 -
강계아사
북한 자강도 강계시에 있는 조선후기 강계부사가 집무를 보던 관청.
건축유적 -
강령 탈춤
황해도 강령 지방에 전승되어오던 탈춤.
연극작품문화재 -
강릉 관노탈놀이
강릉단오제 때 행해지는 탈놀이.
연극작품 -
강릉 관음리 오층석탑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에 있는 고려시대에 건립된 일반형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건축유적문화재 -
강릉 관음사 동종
강원도 강릉시 금학동 관음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
공예작품 -
강릉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
강원도 강릉시 관음사에 봉안되어 있는 고려 말 조선 초 목조관음보살상.
조각유물 -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의 굴산사지 입구에 당간을 세우려고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때 건립된 두개의 지주.
건축유적문화재
종교·철학
역사
-
강계고
조선후기 문신·학자 신경준이 상고에서 조선에 이르기까지 각국의 수도와 강계를 역사지리적 입장에서 서술한 지리서. 역사지리서.
조선시대사문헌 -
강관론
1836년(헌종 2) 최한기(崔漢綺)가 사전(史傳)의 경연제설(經筵諸說) 중에서 군주와 신하가 할 일을 뽑아서 만든 책.
조선시대사작품 -
강도일기
조선후기 문신 어한명이 병자호란 당시에 작성한 일기.
조선시대사문헌 -
강도충렬록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창협이 충렬사에 관한 기록을 모아 1701년에 편찬한 전기.
조선시대사문헌 -
강동 한왕묘
북한 평안남도 평성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제11대인 동천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능.
선사문화유적 -
강동전말
조선후기 강동현감 서만수와 관찰사 이조원 두 사람 사이에 벌어진 진소 변명의 시말을 적은 실기.
조선시대사문헌 -
강동진
해방 이후 「일본의 조선지배정책사연구」, 「한국노동조합운동사」 등을 저술한 학자. 역사학자.
근대사인물
지리
-
강계군
평안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
인문지리지명 -
강남구
서울특별시의 동남부에 위치한 구.
인문지리지명/행정지명ˑ마을 -
강도지
1694년∼1696년 사이에 이형상이 경기도 강화부의 수어방략을 중점으로 저술한 지방지. 읍지.
인문지리문헌 -
강도지도
병자호란 이후 요새화된 강화도를 그린 지도. 고지도.
인문지리문헌 -
강동구
서울특별시의 동단에 위치한 구.
인문지리지명/행정지명ˑ마을 -
강동군
평안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
인문지리지명 -
강동군읍지
평안남도 강동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인문지리문헌 -
강령군읍지
황해도 강령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읍지.
인문지리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