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퀴치기

목차
민속·인류
놀이
농가의 청년들이 가을철에 갈퀴를 던져 승패를 결정짓는 어린이놀이.
목차
정의
농가의 청년들이 가을철에 갈퀴를 던져 승패를 결정짓는 어린이놀이.
내용

흔히 농촌의 나무꾼들이 나무를 걸고 내기를 한다. 가을철 농가의 청소년들이 산에서 갈퀴로 낙엽이나 솔가지를 긁어모아 만든 나뭇단을 걸고 이긴 사람이 이를 차지하는 놀이이다.

놀이방법은 5m쯤 되는 거리에 갈퀴를 던질 지점을 정한 다음 선을 그어놓는다. 갈퀴가 선 안, 곧 던진 사람 쪽으로 떨어지면 자격을 잃으며 선 밖으로 나갔더라도 갈퀴가 엎어져야 이기며, 갈퀴 발이 하늘을 향한 경우는 패자가 된다. 만약 이렇게 된 사람이 둘 이상일 때는 이들끼리만 다시 던져서 마지막 한 사람을 가린다.

갈퀴를 던질 때 손잡이 끝을 두 손으로 잡아 어깨에 멘 다음, 손을 힘차게 밑으로 당겨서 갈퀴가 한 바퀴 돌아 선 밖으로 떨어지게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옆으로 던지거나 뒤로 던지는 내기도 한다.

이 놀이는 낫치기처럼 나무꾼들이 심심풀이로도 하나 나무하기 싫은 어린이가 남이 해놓은 것을 제것으로 만들려고 내기를 거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놀이』(김광언, 인하대학교출판부, 1982)
「아이놀이」(지춘상, 『한국민속대관』 4-세시풍속·전승놀이-,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집필자
김광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