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고 ()

목차
관련 정보
갑고 / 황극경세도설
갑고 / 황극경세도설
유교
문헌
조선후기 문신 이돈영의 시·응제록·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이돈영의 시·응제록·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6권 6책. 필사본.

내용

권두에 자서(自序)가 있다. 권1·2는 시 469수, 권3·4는 응제록(應製錄) 4편, 제축문(祭祝文) 18편, 책제(策題) 6편, 잡저 54편, 권5·6은 비지(碑誌) 18편, 제문 38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시는 대부분 자연을 묘사한 작품이 많으며, 잡저에는 <나주정씨변 羅州鄭氏辨>·<금일설 今日說>·<연설보 蓮說補>·<이소찬 二疏贊>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금일설>에서는 시각의 흐름에 따라 ‘오늘’이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을 해마다 달리해야 한다는 저자의 철학을 논설하고 있다.

<연설보>는 주돈이(周敦頤)의 <애련설 愛蓮說>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연꽃에 대한 많은 글을 남겼으나, 자기 나름으로 연꽃을 좋아하는 이유를 들어 펼치고 있다. 이 밖에도 잡저에는 내용이 간략하면서도 잘 짜여진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