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신일록 ()

목차
관련 정보
갑신일록
갑신일록
근대사
문헌
김옥균이 갑신정변에 관해 기록한 실기.
목차
정의
김옥균이 갑신정변에 관해 기록한 실기.
내용

한문으로 된 일기체로서 총 1만9400여자에 이르며 1885년 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김옥균은 갑신정변에서 실패한 후 일본에 망명해 있는 동안 정변의 주역으로서 자신이 체험한 사실을 후세에 남기겠다는 책임감은 물론, 갑신정변이 실패한 주요원인으로서의 일본의 배신을 규탄하기 위하여 이 일기를 남겼다.

이 책은 필자 김옥균의 제1차일본방문(1881.12.)에서부터 갑신정변이 실패했을 때까지의 약 3년간에 걸친 시기의 조선을 둘러싼 대내·대외의 정치적 역학관계를 다루고 있다. 간단한 서론부분과 본격적인 일기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기는 1884년 10월 30일에 일본공사 다케조에(竹添進一郎)가 조선에 귀임한 후 그를 만나는 데에서부터 시작하여 정변이 3일천하로 실패하고 정변에 참가한 사람들이 서울을 탈출한 그해 12월 6일까지의 38일 동안의 혁명의 모의, 인적 구성, 진행, 정책, 그리고 실패의 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이 일기는 지은이가 사건이 지난 지 1년 후에 자신의 기억에 의하여 집필한 것인데다, 음력과 양력의 혼용으로 날짜에 있어서 다소 착오가 보이는 관계로, 사료로서의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갑신일록≫은 갑신정변과 김옥균의 생애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일차사료로 인정되고 있다. 애당초 필사본은 항간에 전승되어오던 것인데, 현재에는 한국어본(건국대학교 출판부판과 규장각판) 및 일본어본(日本 東洋文庫)으로 정리되어 있다.

참고문헌

「김옥균의 갑신일록에 대하여」(이광린, 『개화당연구』, 일조각, 1973)
「甲申日錄の硏究」(山邊健太郞, 『朝鮮學報』 17, 天理大學朝鮮學會, 1960)
Korea’s 1884 Accident(Cooh, H., Royal Asiatic Society, Seoul, 1972)
관련 미디어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