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집

목차
관련 정보
갓집
갓집
의생활
물품
갓을 넣어두는 함.
목차
정의
갓을 넣어두는 함.
내용

조선시대에 갓 착용이 일반화되면서 사용하게 된 것으로, 형태상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받침(갓을 올려놓는 부분)과 덮개가 분리되지 않은 형인데, 보통 대오리로 아랫부분은 원통형, 윗부분은 원추형으로 골격을 만들고 그 위에 종이를 발라 기름을 먹여서 만든다.

밑변을 이등분하여 여닫게 해서 이 부분으로 갓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위쪽에 끈을 달아서 걸게 되어 있다. 다른 하나는 상자처럼 뚜껑을 따로 만들어 덮은 것으로, 나무로 짜거나 종이를 여러 겹 발라서 만든다.

덮개는 갓과 비슷하게 양태 부분과 총대우(모자집)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밑받침은 원·사각·팔각·12각형 등 다양하다.

이 것은 또, 흔히 표면에 여러가지 무늬나 장식을 넣어 아름답게 꾸몄는데, 주로 장농 위에 얹어두고 사용했으므로 방안치레의 구실을 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韓國服飾史)』(석주선, 보진재, 197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강순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