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할미

목차
민속·인류
개념
상축일(上丑日)의 농점과 관련된 속신. 묘파.
이칭
이칭
묘파
목차
정의
상축일(上丑日)의 농점과 관련된 속신. 묘파.
내용

한자어로는 ‘묘파(猫婆)’라고 한다. 주로 전라남도 지방에 전승되고 있다. 하늘에 사는 고양할미는 설날 인간세상에 내려왔다가 정월 상축일에 하늘로 되돌아간다고 한다.

고양할미가 하늘에서 내려올 때는, 자기가 지상에서 먹을 곡식을 한 말 가지고 와서 하루에 한 되씩 먹고 산다고 한다. 열흘 이내에 상축일이 들어 고양할미가 승천하게 되면, 곡식을 다 먹지 못하고 남겨두고 가게 되며, 열흘날에 상축일이 들면 가져온 곡식을 다 먹고 가게 된다.

그러나 열하룻날이 상축일이면 하루 먹을 것이 부족해서 이웃에서 한 되를 꾸어다 먹게 되는데, 그 때 꾸어먹은 것을 갚지 못하고 하늘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축일이 일찍 들어 고양할미가 곡식을 남겨놓고 가는 해는 농사가 풍년이 들어 풍족하게 살게 되지만, 부족해서 꾸어먹고 갚지 못한 채 승천하는 해는 흉년이 들어 굶주리고 가난해진다고 전한다.

이는 곧, 정월에 상축일이 언제 오느냐로 농사를 예견하려는 점농법(占農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세시풍속(韓國歲時風俗)』(임동권, 서문당, 1976)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전남편(全南篇)-』(문화재관리국, 1969)
집필자
임동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