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밝이술

목차
민속·인류
개념
정월 대보름날 아침 식전에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는 술. 이명주.
이칭
이칭
이명주
목차
정의
정월 대보름날 아침 식전에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는 술. 이명주.
내용

한자어로는 ‘이명주(耳明酒)’라고 한다. ≪동국세시기≫에서는 이것을 유롱주(牖聾酒)라 적고, 중국의 ≪해록쇄사 海錄碎事≫에는 치롱주(治聾酒)와 유사하다고 하였다.

다같이 귀밝이술이라는 뜻이 되며, 이 말의 유래도 이런 데서 찾을 수 있을듯하다. 옛날에는 명절 때와 잔치가 있을 때 각 가정에서 술을 빚어두었다가 썼지만, 근래에는 양조장에서 만든 술을 사용하게 되었다.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시는 것이 특징이며,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술을 못 마시는 사람도 누구나 한 잔씩 마신다. 귀밝이술을 마시면 일년 동안 귀가 밝아지고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다는 것이다.

귀밝이술은 설날 영춘(迎春)의 뜻으로 마시는 도소주(屠蘇酒)와 같이 일년 동안의 제화초복(除禍招福)의 뜻을 지니고 있다. 일년 동안의 길흉과 관계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가을에 추수가 끝나면 좋은 쌀을 따로 마련해 두었다가 술을 빚었으며, 때로는 몸을 보하고 장수한다 하여 한약재를 넣어 술을 빚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세시풍속』(임동권, 서문당, 1976)
집필자
임동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