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용환 ()

나용환
나용환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독립운동가. 천도교인.
이칭
택암(澤菴)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4년(고종 1)
사망 연도
1936년 8월 19일
본관
나주(羅州)
출생지
평안남도 성천
정의
일제강점기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독립운동가. 천도교인.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호는 봉암(逢菴). 평안남도 성천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23세 때 동학에 가담하여 나인협(羅仁協)과 함께 동학농민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2월 천도교의 기도회 종료보고와 국장참배를 위해 상경, 손병희(孫秉熙)·권동진(權東鎭)·오세창(吳世昌) 등을 만나 3·1독립만세운동 계획을 듣고, 그에 찬동하여 민족대표로서 서명할 것을 동의하였다.

이 달 27일 최린(崔麟)·오세창·임예환(林禮煥)·나인협·홍기조(洪基兆)·김완규(金完圭)·권병덕(權秉悳)·홍병기(洪秉箕)·박준승(朴準承)·양한묵(梁漢默) 등의 동지와 함께, 김상규(金相奎)의 집에 모여서 독립선언서와 기타 문서의 초안을 검토하였으며, 그들과 함께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서 성명을 열기하고 날인하였다.

3월 1일 오후 2시경 인사동에 있는 태화관에 민족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여 만세삼창을 외치고, 일본경찰에 스스로 붙들리어 2년간의 옥고를 치렀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 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3·1운동비사』(이병헌, 시사시보사, 1959)
『고등경찰요사(高等警察要史)』(경상북도경찰부, 1934)
집필자
김진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