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담상 ()

목차
관련 정보
교자상
교자상
식생활
개념
손님 대접을 위하여 차려 내는 다과상.
목차
정의
손님 대접을 위하여 차려 내는 다과상.
내용

다담은 불가(佛家)에서 손님을 대접하기 위하여 내어 놓는 다과를 가리키는 말이다.

고려시대는 숭불사상(崇佛思想)이 민간생활에 깊이 침투되었던 시대로 살생을 금지하고 육식을 절제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병과류(餠菓類)가 음다(飮茶)의 풍습과 함께 성행하였으며, 손님을 대접할 때도 차와 과자를 대접하는 풍습이 성행하였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차를 마시는 풍습이 크게 쇠퇴하였고, 손님 접대도 음청류와 술을 위주로 하는 교자상차림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에서 교자상을 다담상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차례가 본래의 뜻과 달라진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식품사연구』(윤서석, 신광출판사, 1974)
『한국민속대관』 2(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