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곡사동종 ()

목차
관련 정보
공주 마곡사 동종
공주 마곡사 동종
공예
유물
문화재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범종.
목차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범종.
내용

1654년 주조. 높이 1.07m, 입지름 75㎝. 1976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오층석탑 동쪽의 심검당(尋劍堂) 툇마루에 놓여 있는데, 종신부(鐘身部)에 새겨진 종명(鐘銘)에 의하면 충청남도 대흥 안곡사(安谷寺)에서 주성(鑄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정상부의 종뉴(鐘鈕)는 두 마리의 용을 세워 장식하였고, 종신 어깨의 네 곳에 유곽(乳廓)을 배치하고 유곽 사이와 종신부 중앙 4개소에 원형 두광(頭光)을 가진 보살상을 양각(陽刻)하였다. 유곽 안에는 9개의 유두(乳頭)가 표현되어 있다.

상대(上帶)에는 두 줄의 방형대를 만들고 그 안에 범자(梵字)를 적은 원권(圓圈)을 배치하였으며, 하대(下帶)에는 연꽃과 보상화문(寶相花文)을 교차시킨 당초문대(唐草文帶)를 배치하였다. 제작연대와 장소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조선 중기의 종으로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종(鐘)』(염영하, 서울대학교출판부, 199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강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