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쌈 (─)

목차
식생활
물품
김이나 취잎, 배추잎과 같이 넓은 잎에 밥을 싸서 먹는 쌈.
목차
정의
김이나 취잎, 배추잎과 같이 넓은 잎에 밥을 싸서 먹는 쌈.
내용

대보름 절식의 하나이다. 복쌈이란 이 행위가 기복(祈福)의 의미를 가지므로 붙게 된 이름이다.

즉, 쌈이란 무엇을 ‘싼다’는 뜻이므로 복쌈이란 ‘복을 싸서 먹는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대보름의 복은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큰 것이라 하겠다.

대보름날에는 부럼·귀밝이술·진채식 등과 함께 복쌈을 먹는데 원래는 김에 밥을 싸서 먹었다고 한다. 김 대신 삶은 취나물·배추잎·토란잎·피마자잎을 쓰기도 한다. ≪열양세기기 洌陽歲時記≫에는 많이 먹어야 좋다고 하였고, 농가에서는 첫 숟갈을 쌈 싸 먹어야 좋다는 말도 있다.

참고문헌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집필자
이효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