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영랑사대웅전 ()

목차
관련 정보
당진 영랑사 대웅전 정면
당진 영랑사 대웅전 정면
건축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영랑사에 있는 조선시대 의 사찰건물. 영랑사.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영랑사에 있는 조선시대 의 사찰건물. 영랑사.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多包式) 맞배지붕건물. 197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측면에 공포(栱包)를 배치하지 않고 고주(高柱)를 세웠다.

공포의 구조는 내외2출목(內外二出目)이며 밖의 세 쇠서[牛舌]는 모두 앙서형[仰舌形]인데 짧고 강직한 모습이다. 내부 살미첨차[山彌檐遮]는 교두형(翹頭形: 圓弧形으로 깎아낸 모양)으로 장식적인 요소가 없다.

앞뒤 평주(平柱) 위에 대들보를 걸고 그 위에 동자주(童子柱: 세로로 세운 짧은 기둥)를 세워 종보[宗樑]를 받쳤고 이 종보 상부에 파련대공(波蓮臺工)을 배치하였다.

특히, 이것에는 주심포(柱心包)집에서 나타나는 人자형 솟을대공이 첨가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연등천장[椽背天障]으로 꾸민 점도 주심포집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의 하나이다.

건축양식은 다포식으로 되어 있으나 지붕은 주심포식을 채용한 일종의 절충형 건축기법을 따랐다. 전내에는 나무로 만든 석가불과 동자상이 모셔져 있다.

참고문헌

『충남문화재대관』(충청남도, 1985)
「영파산영랑사대웅전」(주남철,『고고미술』136·136, 197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강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