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지평리삼층석탑 ()

양평 지평리 삼층석탑
양평 지평리 삼층석탑
건축
유적
문화재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있는 고려전기 탑신석에 사방불을 부조한 3층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정의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있는 고려전기 탑신석에 사방불을 부조한 3층 석조 불탑. 석탑.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이 탑은 원래 지평리 야산에 있었다고 전하나 원위치는 확인할 수 없고, 1945년 현위치인 지평초등학교로 옮겨져 2001년에 복원되었다.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2002년 4월 8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높이는 251㎝이며, 탑신부는 옥개석의 체감률이 잘 맞고, 각 부의 치석 수법이 상통하고 있다. 1층 탑신석은 각 면 좌우측에 우주를 세우고 그 안에 각 면마다 여래상을 부조 형태로 조각한 사면불(四面佛)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면의 여래상들은 동일한 조각기법을 보이고 있으나 수인(手印)은 모두 다르다. 옥개석은 동일석으로 치석되었는데, 각 층이 규모가 작아지면서 동일한 양식을 보이고 있다. 2층과 3층 탑신석은 복원 때 새 석재로 보강하였다.

현황

지평초등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교육 자료가 되고 있으며,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이 잘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석탑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1층 탑신석에 사방불이 정교하게 새겨져 있는 것으로, 이는 이 삼층석탑이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영향을 받아 고려 전기에 제작된 것임을 추정케 하는 단서가 된다.

참고문헌

『우리 고장의 문화재총람』(양평군, 1984)
문화재청(http://www.cha.go.kr)
집필자
정진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W88 스포츠 - 낚시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